
안녕하세요 웰케어링입니다 ˙ ͜ʟ˙ !
이번 포스팅에서는 응급안전안심서비스에 대해 안내드리려고 합니다.
어르신들이 보다 안전하고 안심하면서 행복한 노후의 일상을 보내실 수 있도록 안전을 보장하는 정책들이 강화되고 있습니다.
그럼 응급안전안심서비스에 대해 상세히 안내드려볼게요
응급안전안심서비스란?
상시 보호가 필요한 노인가구 및 장애인 가구에
화재감지기, 출입감지기, 활동량감지기 등을 설치하여
화재, 질병 등 응급상황 발생 시 119 응급관리요원에 연락하여
신속한 구조·구급 지원이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
① 화재감지 : 댁 내 화재 시 화재감지기가 감지해 119에 곧바로 신고
② 응급호출 : 화장실 또는 침실에 응급호출기를 설치해 응급상황 시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으로 간편하게 119 신고 가능
③ 활동량 감지 : 활동량 감지기 및 레이더 센서로 움직임·심박·호흡 등을 측정해, 쓰러지거나 의식을 잃는 경우 응급관리요원에 알려 안부 확인
④ 출입감지 : 문이 열리고 닫힌 걸 알려줌
⑤ 게이트웨이 : '119' 소방서로 연락, '통화' 저장된 비상연락처 (자녀 등)로 연락

출처: 국민건강보험공단
크고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러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어요 Ꙭ̫
그럼 이 기기들이 정확히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볼게요.
응급안전안심서비스 장비구성

기기사진이랑 간단하게 설명 정리한 표 입니다.
※ 사진은 장비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셔요!
응급안전안심서비스 상황별 업무처리 절차
1. 게이트웨이 119 응급버튼

출처: 국민건강보험공단
① 119 호출 버튼 누름
② 취소 안내 멘트 약 15초 간 2회 송출
* 응급호출이 감지되었습니다. 실제 상황이 아니라면 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"
③ 119 상황실로 자동신고
2. 화재감지기 반응

출처: 국민건강보험공단
① 119 호출 버튼 누름
② 취소 안내 멘트 약 15초 간 2회 송출
* 응급호출이 감지되었습니다. 실제 상황이 아니라면 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"
③ 119 상황실로 자동신고
3. 활동 미감지 대상자 안전확인

출처: 국민건강보험공단
① 활동 미감지 대상자 확인 (응급안전안심서비스 운영시스템)
② 유선, 방문 확인
③ 소방서, 경찰서 신고
④ 보호자 연락

응급안전안심서비스 이용대상
노인가구(독거, 노인2인가구, *조손가구), 장애인가구
*조손가구: 자녀가 부모로부터 직접 양육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부모와 떨어져 조부모에게 양육되는 가족
※ 장기요양 등급자도 서비스 이용 가능
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신청방법
가까운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및 전화로 신청
* 기타 문의는 보건복지부 콜센터(129)
단, 전화 신청 시 추후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신청서 작성이 필요해요!

해당 서비스는 올해 상반기부터는
독거노인 소득 기준(소득하위 70%)을 폐지하고 하반기부터는 본인부담 방식도 도입하여 서비스 대상을 확대한다고 하니!
유용하고 도움이 되는 서비스는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안전한 노후를 위해 실행시켜 드리자구요!
다음편에는 더 유익한 정보 가지고 찾아올게요
감사합니다 "웰케어링"이였습니다🎔

'■ 노인복지서비스 > 장기요양보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요양보호사 하는일과 신청방법(+자격증, 급여) (0) | 2024.05.17 |
---|---|
장기요양기관 평가대상/평가종류/등급 정리 (0) | 2024.05.15 |
노인장기요양기관 검색방법 및 기관등급확인 (+치매관련급여) (1) | 2024.05.11 |
노인교통카드 발급방법 및 지역별 혜택 정리 (0) | 2024.05.06 |
재가노인복지시설 이용방법 및 대상자 (+서비스 종류) (0) | 2024.05.04 |